우리의 언어는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우리의 뇌는 언어의 습관에 쉽게 영향을 받게 되며, 무의식과 의식의 지배를 받게 되기도 합니다. 우리는 의식과 무의식의 괴리를 느낄 때가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남녀 문제가 그렇기도 한데요. 머리로는 나쁜남자, 나쁜여자와 만나면 안 된다는것을 알지만, 의식과 무의식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반대로 머리로는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지만, 끌리지 않을 때. 의식과 무의식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죠. 무의식은 좀 더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의식은 좀 더 먼 미래를 생각하게 되죠. 무의식은 본능에서 만들어지고, 의식은 이성적인 측면에 의해 만들어지는경향이 큽니다. 하지만 문제는 무의식과 본능의 힘이 더 강하다는 것인데요. 다이어트가 어려운 이유, 절약이 어려운 이유도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본능의 힘이 더 강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평소 언어습관을 보면 무의식이 어떤 믿음을 가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부자들은 나빠
부자들은 남들을 등쳐먹어서 부자가 된거야라는 생각 투기꾼들은 모두 불법을 저질러서 부자가 된거야 라는 생각 모든 부자는 사기꾼이니까, 나는 부자가 안 될거야. 높이달린 포도를 보고, 신포도라고 생각하는 여우와 같은 마음입니다. 부정적인 마음은 부자로 가는 언어의 습관을 가로막는 생각입니다.
우리나라에선 안 돼
나는 나라를 잘못 타고났어. 그래서 내가 성공을 못하는 거다. 국가나 정부의 문제다. 부익부 빈익빈이 심해지는 나라에서 내가 뭘 할 수 있겠냐? 내 인생은 국가에 의해 결정된 거야. 내 인생은 국가 것이야. 등의 부정적인생각
우리집은 가난해
우리 집은 가난해. 그래서 내가 성공을 못하는 거야. 내 문제가 아니야. 내 인생은 우리 부모님에 의해 결정된 거야. 내 인생은 부모님과 성장배경 것이야. 이런 언어습관을 가졌다면, 내 인생은 내 것이 아니라고 무의식이 마구 주장하게 두는 것이죠. 이렇게 무의식이 주장하게 두면, 무의식은 결국 의식까지 점령하게 될 것입니다.
돈많은 사람을 불행해 문제는 이런 무의식을 이겨내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하면 굉장히 효과적으로 부자의 언어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1. 만나는 사람들
만나는 사람들이 이런 류의 대화를 즐겨하고, 이런 사고를 가졌다면, 나 또한 바뀔 수가 없죠. 저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과정에서 주변사람들이 많이 바뀌었는데요. 물론 사람을 너무 이런 잣대로만 사귀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불평, 불만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은 멀리해야 하는것이죠. 이들은 나를 뒤에서 욕 할 것이며, 또 내가 진취적인 삶으로 이동할 때, 반드시 방해하는 말을 할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모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주로 교류해야 하며, 나머지 시간은 가리지 않고 폭넓게 만나느 것이 좋은 관계방법입니다. 즉 끈끈한 유대와 느슨한 유대를 분리해서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사고방식은 나이가 들수록 편협해지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특히 더 경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이분법적으로 생각 자제하기
레이달리오가 사바나 초원을 여행하는 도중 하이에나에게 잡아먹히는 초식동물을 보고 마음이 아팠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했는데요. 초식 동물의 개체수가 조절되지 않으면, 결국 초원의 풀들이 너무 빨리 없어지게 되고,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으로 인해 사막화가 진행되고 초원 생태계 전체에 문제를 주는 것이죠. 우리가 사는 사회는 이런 자연계만큼이나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흑백논리로 세상을 보면 사고가 편협해지기 마련입니다. 반드시 회색지대는 존재한다고 인정는 사고가 필요합니다. 또 한 내가 모든 부분을 볼 수 없다고 인정하고, 가치 판단을 최대한 하지 않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아울러 지나친 도덕적 잣대는 스스로나 사회에 강요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3. 나와 다른 생각을 연구 및 공부하기
결국 편협한 사고는 편협한 지식에서 나오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우리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다양한 책과 강의, 동영상을 이용해서 폭넓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문제는 대부분 하나의 의견을 취하고 그 의견을 강화하는 공부만 한다는 것인데요. 저는 저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의식적으로 가까이 하기 위해 노력을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해도 자연히 끌리는 저와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에게 사용하는 시간과는 비교도 되지 않긴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최소한이라도 그들의 의견을 듣고, 사고를 넓히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과 공부를 해야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에 대하여 (0) | 2020.09.14 |
---|---|
부자의 꿈을 막로막는 심리 (0) | 2020.09.09 |
부자의 문턱을 못 넘는 실수 (0) | 2020.09.09 |
본격적으로 부자되기 Part.2 (0) | 2020.09.09 |
본격적으로 부자되기 Part.1 (0) | 2020.09.09 |